상속세 자동계산!- 세금 미리 확인하기
2025년부터 상속세 제도가 개편되며 세금 부담과 신고 기준이 달라집니다.
상속세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면 예상 세액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절세 팁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상속세 계산법
✅ 1단계: 총 상속재산가액 산정
피상속인의 전 재산을 합산합니다.
여기엔 다음 항목이 포함됩니다:
- 부동산 (아파트, 상가, 토지 등)
- 금융 자산 (예금, 주식, 채권 등)
- 보험금, 미수금
- 차량, 골동품 등 기타 자산
- 사망 직전 10년 이내 증여한 재산도 일부 포함
✅ 2단계: 채무 및 공과금, 장례비 차감
상속재산에서 피상속인의 채무(대출 등)와 장례비용을 차감합니다.
✅ 3단계: 공제 항목 적용
다양한 법정 공제 항목을 적용합니다.
- 기본공제: 5억 원
- 배우자 공제: 배우자 상속 시 최대 30억 원까지
- 자녀 공제: 2025년부터 자녀 1인당 최대 5억 원
- 미성년자·장애인 공제 등도 추가 적용 가능
✅ 4단계: 상속세율 적용 (누진세 구조)
2025년 세율표 기준: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1억 이하 | 10% | - |
1억~5억 | 20% | 1,000만 원 |
5억~10억 | 30% | 6,000만 원 |
10억 초과 | 40% | 1.6억 원 |
✅ 5단계: 세액공제 및 분할
- 세액공제: 신고세액공제(3%), 외국납부세액공제 등 적용 가능
- 납부방식: 상속세는 분할 납부 또는 물납 가능 (요건 충족 시)
✅ 예시
상황: 부모님 사망 후 자녀 1명이 13억 원 상속
- 채무 + 장례비: 2.05억
- 공제: 기본 5억 + 자녀공제 5억
- 과세표준: 0.95억
- 세율: 10%
- 계산: 0.95억 × 10% = 950만 원 (예상 상속세)
상속세 자동 계산기
요즘은 웹사이트에서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예상 세금을 자동 계산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없이도 사용 가능한 울리나라 공식 세금 계산기인 홈택스 자동 계산기를 추천드립니다.
2025년 상속세 개정 포인트
2025년부터 적용되는 상속세 개편안은 납세자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세율 인하와 공제 항목 확대를 통해 보다 실질적인 세금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1. 최고세율 인하: 기존 50% → 40%
기존에는 과세표준이 30억 원을 초과하면 최고 50%의 상속세율이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이 최고세율이 40%로 인하되어, 고액 자산 상속자에게 최대 10%p 세금 절감 효과가 생깁니다.
예) 과세표준 40억 원인 경우
👉 기존 세율: 50% → 20억 원 세금
👉 개정 세율: 40% → 16억 원 세금
➤ 단순 계산 기준으로 4억 원 차이
🔹 2. 과세 구간 조정: 10억 초과 시부터 최고세율 적용
기존엔 30억 원 초과 구간에 최고세율이 적용됐지만, 2025년부터는 과세표준 10억 원 초과 시 곧바로 최고세율(40%)이 적용됩니다. 즉, 고세율 적용 구간은 낮아졌지만, 최고세율 자체가 낮아졌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세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3. 자녀 공제 확대: 기존 5천만 원 → 최대 5억 원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자녀 상속 공제 한도의 대폭 상향입니다.
기존에는 자녀 1인당 5천만 원까지만 공제가 가능했지만, 2025년부터는 최대 5억 원까지 공제됩니다.
예) 자녀가 2명일 경우
👉 2024년: 총 공제 1억 원
👉 2025년: 최대 공제 10억 원 (자녀 1인당 5억 원 한도 기준)
이 공제 확대는 중산층 가정에도 큰 혜택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 세율은 낮아지고
✔️ 공제는 늘어났으며
✔️ 과세 기준은 더 현실적으로 조정
💡 자산 규모가 크지 않은 일반 가정도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상속세 FAQ
Q1. 상속세 신고 기한은 언제인가요?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Q2. 상속 재산이 적으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기본공제 5억 원 이하라면 과세되지 않습니다. 단, 계산기에서 정확히 확인하세요.
Q3. 상속세 자동 계산기는 실제 납부액과 같나요?
비슷하지만 일부 항목은 전문가 검토가 필요합니다.
Q4. 형제끼리 상속받을 경우 세율이 다른가요?
네. 직계 가족 외 상속 시 세율이 더 높습니다.
Q5. 상속세 미납 시 불이익은?
가산세가 붙고,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어요.